카테고리 없음

EBS 수특·수완, 국영뿐만 아니라 수학도 핵심입니다!

입시인 2025. 6. 24. 21:08
반응형

수학 EBS, 무시하면 손해! 수능 연계 체감과 공부법 총정리


수학에서 EBS가 왜 중요할까?

많은 학생들이 국어와 영어는 EBS 연계가 잘 느껴지니 꼭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수학은? "연계 체감이 안 된다", "굳이 EBS 풀 필요 없다", "사설 문제집이 더 낫다"는 말, 정말 많죠.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EBS 수능특강과 수능완성에서도 수학의 핵심 발상이 반복되고, 실제 수능에 그대로 연계된 문제도 꽤 많습니다. 단지 여러분이 그 ‘발상’을 못 느꼈을 뿐이에요.

 


✅ 실제 수능에 연계된 수학 문제들

2024 수능 기준, 아래와 같은 문제가 EBS에서 직접 연계되었습니다:

공통 과목 (수Ⅰ/수Ⅱ)

  • 11번 (등차수열): 수능완성 예제와 풀이방식, 발상이 거의 동일
  • 15번 (귀납적 정의 수열): 두 수열의 합 조건을 파악하는 발상이 동일
  • 21번 (2차함수 + 로그함수 최대 최소): 수완 고난도 문제와 구조 똑같음

선택 과목 – 미적분

  • 27번: 곡선과 직선 기울기 설정 방식, 문제 구조까지 똑같음
  • 29번: 등비수열 수렴조건을 나누는 발상 완벽히 일치

선택 과목 – 기하

  • 29번: 이등변 삼각형 조건에 따른 경우 나누기 발상 동일

👉 EBS 오피셜 발표 기준으로도 공통 22문항 중 12문항, 선택 과목 8문항 중 6문항이 연계되었어요. 절대 무시할 수 없겠죠?


🤔 그럼 왜 체감이 잘 안 될까?

문제 그대로 나오진 않아요. 대신 ‘핵심 발상’이 반복돼요.

“이거 어디서 본 것 같은데?”
“이런 식의 접근, 수특에서 봤었는데?”

이런 느낌이 바로 연계 체감이에요. 눈에 익은 발상을 시험장에서 꺼내 쓸 수 있게 되면, 문제 난이도와 관계없이 훨씬 유리합니다.


📌 수특·수완 수학 공부, 이렇게 하자!

1. 공부 순서

 

단계 설명
 1. 개념 정리 수학 개념서를 한 바퀴 돌린다
 2. 유형 문제 센, 쎈라이트 등으로 유형 정리
 3. EBS 수능특강 예제 → 유제 → 레벨1 → 레벨2
 4. 기출 문제 준킬러, 킬러 제외 전 범위
 5. EBS 레벨3 고난도 문제 집중 학습
 6. 실모/사설 실전 감각 강화
   

2. 발상 노트 만들기

  • 문제 전체를 정리하지 마세요.
  • 처음 보는 발상만 정리하세요.
  • 왜 그 방법이 필요한지, 어떤 구조인지 적으세요.

📌 “오답노트”가 아니라 “발상노트”입니다.


⚠️ 이런 오해는 하지 말자!

  • “실모만 풀면 된다”는 말, 상위권 기준입니다.
  • EBS는 값싼 고퀄 문제집이에요.
  • 사설 실모조차 EBS 발상을 응용해서 만들어요.
  • 실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EBS 생략은 빈칸 채우기 없이 시험장 가는 것과 같아요.

✍️ 마무리하며

수학에서 EBS가 덜 중요하다는 말,
이제는 팩트가 아니라 편견입니다.

EBS의 연계 문항 수, 체감되는 발상의 유사성, 실제 수능 문제 비교를 보면 풀지 않으면 손해라는 것을 알 수 있어요.

👉 핵심은 "연계 체감"이 아니라 "발상 체감"입니다.

이제부터라도 전략적으로 접근해보세요.
수특·수완, 특히 수학도 제대로 공부하면 분명한 무기가 됩니다.


💬 궁금한 점 있거나, 수학 EBS 발상 정리법 영상이 궁금하다면 댓글이나 문의 주세요!
DS입시연구소에서 학생 눈높이에 맞춘 콘텐츠로 계속 도와드릴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