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8 대입 개편, 내신 인플레이션과 절대평가의 시대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by 입시인 2024. 10. 11.
반응형

 

 

2028학년도 대입 개편안이 내신 인플레이션절대평가 도입을 예고하며 많은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고민거리를 안겨주고 있습니다. 변화하는 입시 제도에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그 전략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내신 등급제 변화: 9등급에서 5등급으로, 내신의 변별력은 사라질까?

기존에는 전교생 100명 중 상위 4명만 1등급을 받았던 반면, 이제는 상위 10명까지 1등급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로 인해 내신의 변별력이 크게 줄어들 것이며, 이제 학생들의 우수성을 평가하는 기준은 내신보다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에 집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자사고와 특목고 학생들의 경우, 그들의 활동 기록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세특에서 큰 이점을 얻게 될 것입니다. 이에 반해 일반고 학생들은 내신 성적의 상향 평준화로 인해 더욱 치열한 경쟁을 마주하게 될 것입니다.

2. 사회/과학 과목 절대평가, 변별력은 어디서 찾을까?

사회와 과학 과목이 절대평가로 전환되면서, 학생들의 경쟁이 완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상대평가 과목의 중요성을 더욱 높일 것이며, 그 과목들에서의 변별력이 오히려 강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절대평가로 인해 학생들이 과목별로 고르게 높은 성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지며, 학교 활동 기록세특이 다시 한 번 주요 평가 요소로 부상할 것입니다.

3. 원점수와 성취도, 그리고 검정고시의 선택

대학들은 여전히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 일반 교과전문 교과 중 어느 쪽에 더 가산점을 둘까요? 일반적으로 일반 교과가 우선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내신에서 미끄러진 학생들에게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많은 학생들이 검정고시를 선택할 가능성도 큽니다. 특히, 내신 성적을 기대만큼 받지 못한 학생들은 자퇴 후 정시를 준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실제로도 검정고시를 통해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4. 정시에서의 변화: 공통과목과 심화수학 제외

정시에서는 수능 과목이 공통과목으로 통합되며, 특히 기하가 제외된 점이 큰 변화입니다. 이는 특히 공학계열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탐구 과목이 통합되면서, 모든 과목에 대한 고른 준비가 중요해졌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과목 선택에 대한 신중함과 균형 잡힌 준비가 필요하게 될 것입니다.


미래를 위한 전략, 선택은 무엇인가?

대입 제도는 매번 변화하지만, 중요한 것은 우리 아이들의 특성과 강점에 맞춘 전략을 세우는 것입니다. 내신과 세특, 혹은 검정고시와 정시 준비 등 다양한 선택지 중에서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이 변화 속에서 우리 아이들이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부모님과 학생이 함께 유연한 전략을 세우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세특 강화활동 기록을 탄탄히 하여 대입에서의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핵심이 될 것입니다.


변화는 위기일 수도 있지만, 동시에 기회이기도 합니다. 이번 대입 개편에서 우리 아이들이 성공적인 입시를 맞이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시길 바랍니다.

 
4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