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나는 모르는 것이 두렵지 않다." 리처드 파인만 핵심 공부법

by 입시인 2025. 1. 30.
반응형

리처드 파인만의 특별한 듯, 특별하지 않은 학습법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누구나 되고싶어하는 가식이 없고, 겉치레를 싫어하고, 본질을 추구하며.. 웃음이 넘지는.. 절대 포기를 모르는 남자 리처드 파인만입니다! 세상 무엇보다 물리를 사랑했던 그 남자의 스토리를 통해서 그가 추구했던 공부와 즐겨쓰는 학습법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겠습니다. 

 

개인적으로 과학자이면서 사랑꾼이면서 삶을 투명하게 살아갔던 그의 모습은 이상적인 삶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저에게도 인상깊게 다가왔습니다.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 시리즈도 꼭 읽어보셨으면 합니다.

 

정말 리스펙 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의 시작은 파인만의 젊었을때의 시절에서 시작됩니다.

 

아이슈타인 앞에서 강의했던 천재 소년

 

리처드 파인만은 단순히 뛰어난 물리학자가 아니라, 다양한 의미에서의 천재 였습니다. 그의 학창 시절 에피소드 중 하나로, 대학원 시절 첫 논문 발표 자리에서 아이슈타인, 파울리, 위그너 같은 물리학계의 거장들 앞에서 발표해야 했던 순간이 있습니다. 지도교수가 "이런 대단한 분들이 참석하니 긴장하지 말라"고 했지만, 파인만은 이미 얼굴이 하얗게 질린 상태였다. 그러나 그는 곧 자신의 발표에 집중했고, 떨리는 마음을 뒤로한 채 '거사'를 마쳤습니다. 발표가 끝난 후 파울리가 "이 이론이 틀린 것 같다"고 의견을 내자, 아이슈타인은 천천히 고개를 저으며 "노오오~"라고 말했다. 아이슈타인의 이 표현은 이는 파인만에게 자신감을 심어준 중요한 순간이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노벨상 수상자, 천재 과학자 등의 대단한 사람들 앞에서도 자신의 논리를 펼칠 수 있는 사고력을 가졌고, 그리고 그가 창안한 독특한 학습법 덕분에 더욱 빛을 발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멋지네요.

 

파인만 학습법: 배우고, 가르치며, 이해하기

 

파인만은 복잡한 개념을 쉽게 설명하는 능력이 뛰어났습니다. 그는 강의에서도 양자 물리학과 같은 어려운 개념을 유머와 직관적인 비유로 풀어냈고, 이 덕분에 학생들에게 사랑받았다. 그의 학습법은 단순하지만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며, 4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파인만의 4단계 학습법

우선 배우고 싶은 개념을 선택하는데서 출발해 봅시다. 예를 들어, 뉴턴의 운동 법칙이나 DNA의 구조처럼 관심 있는 주제를 고릅니다. 그 개념을 어린아이에게 설명한다고 생각하며 글로 적거나 말로 표현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복잡한 용어나 어려운 수식을 피하고, 최대한 직관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뉴턴의 제3법칙은 '때리면 맞는다'라는 원리와 같다"처럼 쉽게 풀어쓰는 것입니다. 설명하는 과정에서 막히거나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이 내가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 개념이라는 증거이기에. 부족한 부분을 다시 공부하고, 더 쉽게 설명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학습한 내용을 적절한 비유를 활용해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의 움직임을 설명할 때 "전자는 트램펄린 위에서 공이 튀는 것과 비슷하다"는 식으로 친숙한 개념과 연결하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파인만이 남긴 유산

파인만은 단순히 뛰어난 과학자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그는 학문의 본질을 탐구하며, 배우는 즐거움을 세상과 공유한 인물입니다. 그의 유쾌한 태도와 독창적인 학습법은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우리가 그의 방식대로 사고하고, 배우고, 설명할 수 있다면, 단순한 암기를 넘어 진정한 이해에 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리처드 파인만이 보여준 끝없는 호기심과 자유로운 사고방식은 단순한 학습법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그는 우리에게 물리학을 가르쳐 준 것만이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눈을 선물해 주었습니다.

 

참 재미있는 인생을 살다가신 리처드 파인만, 다편은 리처드 파인만의 사랑에 대하여 포스팅하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작심 만일: 성공 마인드 동반자"의 영상, 리처드 파인만의 저서 그리고 나무 위키를 참조했습니다. 

https://youtu.be/Mb5bDVy4LTc?si=dJdGXE12cQCs9ZRf

 

많이많이 봐주세요^^

 

 

 

반응형